주식/주식용어

배당락이란?

Yeoymar 2020. 12. 25. 00:08

배당락이란?

- 배당락은 2가지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① 배당기준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

 ② 주식배당으로 주식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해 시가총액을 배당락전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

 ▶ 배당을 현금이 아닌 주식으로 보상하여 주식수가 늘어남에따라 주식가치가 떨어져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다.

 

배당은 기업이 기업활동을 통하여 발생한 이익의 부분을 주주들에게 배당금(현금)이나 배당주식형태로 보상하는 것을 뜻합니다.
(배당을 하지않는 기업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배당을 지급하는 주기도 기업마다 다르니 해당 기업 공시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보통 연배당 시행)

① 월배당 : 1개월마다 1번 지급

② 분기배당 : 3개월마다 1번 지급

③ 반분기배당 : 6개월마다 1번 지급

④ 연배당 : 1년에 1번 지급


[올해의 배당락일은?]

보통 연배당을 하는 기업이 많으니 연배당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배당을 받기위해서는 꼭! 배당기준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올해의 배당기준일은 12월 30일입니다. (12월 31일은 매년 휴장일입니다)

그런데 달력을 보면 12월 28일이 배당기준일이라고 표시되어있죠?

실제로 주식은 구매 후 2일뒤에 주주로 인정되기때문에 실제 배당기준일은 12월 28일이 되는겁니다.

12월 28일까지 구매를 하여 장마감까지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12월 28일이지난 12월 29일에 구매하여도 배당을 못받으니 12월 29일을 '배당락일'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12월 28일 장마감까지 갖고있다가 29일에 팔면 배당을 받을 수 있나요? 네.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일인 12월 28일까지 갖고있었기 때문입니다.


[분기배당락일은?]

- 이해하기 쉽게 삼성전자의 2분기 배당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현금현물배당결정 공시

삼성전자의 2020년 7월 30일 현금현물배당결정 공시입니다.

 

배당구분은 분기배당이고 배당종류는 현금배당배당기준일은 2020년 6월 30일입니다.

 

3개월마다 1주당 354원으로 지급하는 형태이고 삼성전자 주식을 2020년 6월 30일까지 갖고있어야 배당을 지급한다는 공시의 내용이 됩니다. (분기배당경우 분기마다 배당금이 달라지니 분기마다 배당공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은 구매 후 당일이 아닌 2일이 지나야 주주로 인정되니 6월 27,28일 휴장을 제외하고 26일까지는 구매를 해야합니다.자연스럽게 6월 29일에는 구매를해도 배당권을 가지지못하니 배당락일이 되는겁니다.

 

그러면 6월 26일에 구매를 하고 29일에 팔아도 배당권주주로 인정되나요? 맞습니다. 기준일까지 보유했기 때문입니다.


[배당공시 확인하는 법]

1. 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에 들어간다.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2. 회사명에 확인하고자 하는 회사명을 검색한다.

 

3. 현금현물배당결정 공시를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한다.

 

삼성전자 공시

 

 

'주식 >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락이란?  (2) 2020.12.30
시간외거래란?  (0) 2020.12.28
전환사채권발행결정이란?  (2) 2020.12.27
주식명의개서정지(주주명부폐쇄)란?  (0) 2020.12.23
유상증자란 무상증자란  (0) 20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