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제용어 2

[경제시황] 2022.06.18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경제시황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증시 신용잔고 : 아직 많이 버티고 있다. 코로나 이전에는 신용잔고가 10조만 되도 너무 쌓여 곧 터질거라고 봤습니다. 근데 코로나 이후로 최고 신용잔고가 25.5조까지 치솟았고, 최근 21조까지 떨어졌습니다.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자산의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거에 비해 신용잔고는 많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말은 사람들이 팔지않고 버티고 있다. 물타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기침체로 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7월 초 ISM 제조업 지표 (실물지표) 1분기 실적 발표에 대해 작년 12월말~올해 1월초의 재고제품이 판매된 경우의 수도 생각해야 한다. →위 시기엔 PPI가 지금처럼 높았던 시기는 아니기에 ..

경제/경제용어 2022.06.19

[경제용어]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이 글은 개인 공부목적으로 기록&작성되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각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보겠습니다. 물가 : 물건의 값. 여러 가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종합적이고 평균적으로 본 개념 소비자물가 : 소비자가 구입하는 모든 상품, 서비스의 가격을 평균한 수치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일반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제지표 중 하나입니다. ① (소득 관련 지표들과 비교해) 소비자의 실제 생활 수준을 가늠할 수 있고 ② 실제 경기 상태와 가계의 소비 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며 ③ 각종 재정·경제 정책 결정의 기준·근거가 ..

경제/경제용어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