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Modeling/블렌더(Blender)

[블렌더 기초] 클래스101 김렌더 강의 1일차 (2022.12.08)

Yeoymar 2022. 12. 9. 00:49

안녕하세요.

클래스101 '김렌더'님의 강의를 통해 블렌더 기초를 배우고, 배운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의의 모든 내용을 카피하는게 아닌 제가 숙지하고자 하는 부분만 추려내어 정리합니다.


CHAPTER 1 : 블렌더 알아보기

1-1. 렌더링 외장그래픽 설정

좌측 상단 메뉴바에서 Edit - Preferences - System - Cycles Render Devices에 들어가 자신의 컴퓨터에 장착된 외장그래픽을 선택합니다. NVIDIA이신 분들은 CUDA 항목에서 선택하면 되는 것 같고, 저는 AMD여서 HIP 항목에서 선택했습니다. 선택 후엔 좌측 하단의 메뉴 아이콘을 누르면 나오는 Save Preferences 버튼을 통해 세팅을 저장합니다.

1-2. Viewport Control

마우스 휠 클릭 & 드래그 : 뷰포트 회전

Alt + 마우스 휠 클릭 & 드래그 : 특정 축에 고정하여 90도 회전

마우스 휠 Up & Down : 뷰포트 확대 & 축소

Ctrl + 마우스 휠 클릭 & 드래그 : 뷰포트 섬세한 확대 & 축소

Shift + 마우스 휠 클릭 & 드래그 : 뷰포트 화면 이동

Numpad . : 뷰포트의 기준점과 오브젝트가 일치되어 한 오브젝트에 집중할 때 사용

Numpad 5 : perspective/orthographic 전환 (orthographic : 모든 물체를 같은 거리에서 보는 것처럼 표현되어 오브젝트를 정확히 배치하거나 정확한 수치로 모델링해야할 때 사용)

Numpad 1 : 정면 뷰

Ctrl + Numpad 1 : 후면 뷰

Numpad 3 : 우측면 뷰

Ctrl + Numpad 3 : 좌측면 뷰

Numpad 7 : 윗면 뷰

Ctrl + Numpad 7 : 바닥면 뷰

Numpad 2, 4,6, 8 : 상하좌우 회전

~ : 뷰전환 단축키


CHAPTER 2 : Object Mode

2-1. 오브젝트란?

뷰포트 상에 선택가능한 물체, 카메라, 라이트 모두 오브젝트라고 표현합니다.

Shift + A : 새로운 오브젝트 생성 단축키

mesh object :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

curve object : 핸들과 점으로 길이와 곡률을 표현하는 오브젝트

2-2. Move, Rotate, Scale (Object Mode)

Object Mode : 오브젝트를 이동, 회전, 크기 조절하는 모드

Edit Mode : Tab키를 통해 전환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 각각의 점, 선, 면을 편집하는 모드

G : 오브젝트 이동. 마우스를 통해 원하는 곳에 이동할 수도 있고 X, Y, Z키를 입력해 원하는 축으로만 이동 가능. 또한 숫자를 입력해 미터단위로 이동 가능

R : 오브젝트 회전. 이동과 동일. 숫자를 입력하면 특정축으로 입력한 숫자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

S : 오브젝트 크기 조절. 이동과 동일. 숫자를 입력하면 배수만큼 크기 조절 가능

2-3. 3D Cursor, Pivot Point

3D Cursor는 기준점이 되는 뷰포트 상의 커서입니다. 오브젝트 생성 시 3D Cursor 위치에 생성됩니다.

3D Cursor 위치 조정 : Shift + 마우스 클릭 / 뷰포트 좌측의 3D Cursor 버튼 클릭

Pivot Point는 오브젝트 변형의 기준점입니다.

2-4. Object Origin, Snap

Shift + D : 오브젝트 복사

Snap은 오브젝트 이동 시 설정한 기준에 맞춰 자석처럼 이동하는 기능입니다.

2-5. Global, Local 축

Global 축 : 뷰포트 기준의 X, Y, Z축

Local 축 : 오브젝트 기준의 X, Y, Z축

A : 모든 오브젝트 선택 단축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