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용어

유상증자란 무상증자란

Yeoymar 2020. 12. 22. 23:20

유상증자란? 무상증자란?

 - 먼저 증자는 기업이 자본을 늘리기 위해 주식을 추가로 더 발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기업이 대가를 받고 증자하면 유상증자, 대가없이 공짜로 증자하면 무상증자라고 합니다.


[ 유상증자 목적 & 무상증자 목적 ]

 1.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

  - 예를 들어 기업이 새로운 투자를 하고 싶은데 돈이 없는 상황입니다. 투자는 하고 싶고 자본금은 없으니 자본금을 추가로 확보해야 겠죠. 이 때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팔아 자본금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채권을 발행하게되면 원금과 이자상환의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유상증자는 이런 부담없이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2.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 유상증자는 추가 발행한 주식을 돈을 받고 팔아 자본금을 확보한다쳐도 무상증자는 돈을 받지않고 주주들에게 주식을 나눠주는데 어떻게 자본금을 확보한다는걸까?

  - 총자본은 '자본금 + 잉여금' 으로 구성되어있다. 무상증자는 쉽게 말하면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일이다.

    예를 들어 총자본이 2000만원, 자본금 1000만원, 잉여금 1000만원이라고 해봅시다. 500만원어치 무상증자를 한다고 하면 자본금은 1500만원, 잉여금은 50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총자본은 2000만원으로 동일한데 왜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

  - 무상증자를 하는 가장 큰 목적은 회사의 주가 관리를 위해서다.

    주주에게 주식을 무료로 나눠주면 주주들에게는 당연히 좋은 일이다. 또한 회사 내부 잉여금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되기에 시장에서는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좋은 이미지로 회사의 주가를 상승시키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3.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를 악용하는 사례도 있기때문에 기업이 무엇때문에 증자를 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상증자방식 ]

 1. 먼저 해당회사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야 합니다.

  - 이사회에서는 발행할 주식수, 배정기준일, 청약일정 등을 정합니다.

 

 2. 유상증자는 모집대상을 기준으로 3가지로 분류됩니다. (즉, 추가 발행한 주식을 살 사람)

  - 주주배정방식 : 우리 주식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람에게만 팔겠습니다.

  - 일반공모방식 : 우리 주식을 가지고 있든없든 사겠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팔겠습니다.

  - 제3자 배정방식 : 우리 기업의 임원/직원 등 관계있는 사람에게만 팔겠습니다.

 

 3. 추가발행주식의 기준가격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됩니다.

  - 시가발행 : 주식시장에서 현재 거래되고 있는 시세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할인한 가격으로 발행 (즉, 시세보다 낮은 가격)

  - 액면발행 : 우리나라의 경우 통상 500원이나 5000원을 기준으로 발행

 

 4. 시가발행에서 발행가격을 어떻게 정할지는 모집대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 주주배정방식 : 신주배정 기준 3일전

  - 일반공모방식 : 청얄일 기준 5일전

  - 제3자 배정방식 : 이사회 결의일 전일

 

   


[ 유상증자 주가 ]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유상증자 후 주가는 보통 하락하게 됩니다.

유상증자 주가 하락 이유는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면서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비유를 하자면 한 때 유행했던 허니버터칩이 있습니다. 처음 나왔을 때는 물량이 없어서 비싸게 판매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물량이 채워져 처음 나왔을 때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주식도 마찬가지로 기존보다 주식의 물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가치가 떨어집니다.)

 

유상증자 주가는 보통 하락하지만 유상증자결정 이유에 따라 호재인지 악재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호재인지 악재인지 파악한다는건 앞으로의 주가가 오를지 말지를 예상할 수 있는 정보가 되는 것입니다.

좋은 사업에 투자하기위해 자본을 늘리는 것인지 전에 빌린 돈을 갚기위해 자본을 끌어오는 것인지 등 유상증자결정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유상증자 공시 ]

1. 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2. 회사명을 검색한다.

전자공시시스템

3. 유상증자관련 공시를 확인한다.

유상증자 공시

4. 유상증자 투자목적, 유상증자 가격, 유상증자 일정 등 확인합니다.

유상증자 공시

'주식 >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락이란?  (2) 2020.12.30
시간외거래란?  (0) 2020.12.28
전환사채권발행결정이란?  (2) 2020.12.27
배당락이란?  (2) 2020.12.25
주식명의개서정지(주주명부폐쇄)란?  (0) 2020.12.23